
청년미래적금 vs 청년도약계좌, 무엇이 바뀌나요?
📌 청년미래적금 3줄 요약
- 청년도약계좌가 올해 말 종료되고 청년미래적금이 새롭게 출시돼요.
- 청년미래적금은 2026년 새롭게 출시되는 청년 자산 형성 정책 상품이에요.
- 청년미래적금으로 만 19~34세 청년이 3년 동안 월 최대 50만 원을 저축하면, 정부 기여금이 합쳐져 최대 2,200만 원의 목돈을 모을 수 있어요.
목돈을 모으고 싶은 청년분들에게 슬픈 소식과 기쁜 소식이 하나씩 있어요. 슬픈 소식은 청년도약계좌가 올해 말 종료된다는 점이에요. 하지만 좋은 소식으로 청년미래적금이 새롭게 출시돼요. 청년미래적금은 무엇이고 혜택은 어떨까요? 또 청년도약계좌와 청년미래적금 중 나에게 유리한 것은 무엇일까요? 궁금한 사항에 대해 쉽게 알려드릴게요.
✨ 청년미래적금이 뭐예요?

청년미래적금이란 만 19~34세 청년이 3년 동안 월 최대 50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6~12%의 기여금을 얹어 최대 2,200만 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적금이에요. 문재인 정부의 청년희망적금, 윤석열 정부의 청년도약계좌에 이어 이재명 정부에서 출시하는 청년 자산 형성 정책 상품으로, 2026년에 나올 예정이에요.
💰 청년미래적금 혜택도 살펴보아요
1️⃣ 금리 최대 16.9%의 금리 혜택을 누릴 수 있어요. ‘정부 기여금 + 은행별 우대금리 + 비과세 혜택’이 적용된 결과예요. 정부에서는 은행에서 주는 이자와 별개로, 저축액의 일정 비율을 지원금으로 매달 적립해 주거든요. 시중은행의 적금 금리가 대개 2.5% 내외인 것을 생각하면 엄청나죠.
2️⃣ 비과세 혜택 정부는 청년미래적금에 비과세 적용도 추진하고 있어요. 이자 소득에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면, 더 많은 돈을 모을 수 있거든요. 일반적인 예·적금 상품은 이자 소득에 15.4%를 세금으로 내는 것을 생각하면 큰 혜택이에요.
3️⃣ 3년 만기 이전 청년도약계좌는 만기가 5년이어서 다 채울 수 있을지 걱정되는 분들도 계셨죠? 청년미래적금은 만기가 3년으로 줄어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해요.
🙌 청년미래적금 누가, 어떻게 신청할 수 있나요?

📍 가입 대상 • 나이 : 만 19세 ~ 만 34세 청년 • 소득 : 개인소득 6,000만 원 이하(연 매출 3억 이하의 소상공인)이며 가구 중위소득 200% 이하 • 청년미래적금은 가입 유형이 두 가지로 나뉘고, 유형에 따라 지원 금액이 달라지니 유형별 가입 조건을 확인해 보세요.
📍 가입 시기 청년미래적금의 구체적인 가입 시기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어요. 전산시스템 구축 등 준비 기간을 고려해 2026년 중에 청년미래적금에 가입할 수 있게 준비될 예정이에요. 실제로 정부는 지난 8월에 발표한 2026년 예산안에서 무려 7,446억 원의 청년미래적금 예산을 편성했다고 밝히기도 했어요.
📈 청년미래적금 vs 청년도약계좌, 다른 점도 알아보아요
청년도약계좌는 사실상 올해까지만 신청할 수 있는데요. 청년도약계좌를 만들어 놓는 게 좋을지, 아니면 기다렸다가 청년미래적금을 가입하는 게 좋을지 고민되는 분들을 위해 두 계좌를 비교해 볼까요?

청년미래적금의 주요 특징으로는 ‘짧은 납입기간과 높은 매칭률’이 있어요. 반면 청년도약계좌는 ‘긴 납입기간과 중도 인출 가능’이 있죠. 만기 수령액의 경우, 청년미래적금은 3년간 50만 원 납입 시 일반형 약 2,080만원, 우대형 약 2,200만 원을 받을 수 있고, 청년도약계좌는 5년간 70만 원 납입 시 최대 약 5,000만 원을 받을 수 있어요.
📢 청년미래적금과 청년도약계좌 나는 무엇이 유리할까요?
• 중소기업 취업자, 짧은 납입 선호 ⇒ 청년미래적금 • 장기 목돈 마련 ⇒ 청년도약계좌
위와 같이 선택하시는 걸 추천해요. 청년미래적금은 정부 지원율이 높고 만기가 짧아요. 특히, 중소기업 청년은 무려 12%의 매칭지원금을 제공하죠. 반면, 청년도약계좌는 장기간 꾸준히 납입할 수 있는 사람에게 적합해요. 납입 한도가 크고 신용점수 가점도 챙길 수 있으며, 부분인출이 가능해 안정적이고 오랜기간동안 돈을 모으려는 청년에게 유리하죠.
🙋♀️ 청년미래적금, 자주 묻는 질문도 살펴보아요
1️⃣ 청년미래적금과 중복·갈아타기 가능할까요? ✅ 지난 문재인 정부 때 출시했던 ‘청년희망적금’은 다음 윤석열 정부의 ‘청년도약계좌’로 중복 가입은 불가능했지만, 만기 후 갈아타기는 허용됐어요. 청년도약계좌도 비슷하게 중복은 어려워도 갈아타기가 허용될 가능성이 커요.
2️⃣ 청년도약계좌는 언제까지 신청 가능한가요? ✅ 2025년 12월 31일을 끝으로 신규 가입이 중단돼요. 연말까지 가입한 청년들에게는 세제혜택과 정부 기여금이 신청 후 5년 간 유지돼요.
*이 콘텐츠는 오피니언뉴스의 자료를 참고했어요.